UPDATED : 2025-11-06 (목)
구독안내
회원가입
결제하기
로그인
메뉴
전체기사
Morning Brief
Editor's Letter
Central Bank Watch
Analysis
Message Board
검색
검색
전체기사
Morning Brief
Editor's Letter
Central Bank Watch
Analysis
Message Board
안근모의 대시보드
생각보다 까다로울 12월 FOMC
2015-12-08 06:16
매우 근본적인 통화정책 전략 논의가 불가피할 12월 FOMC 회의는 따라서 분위기가 여느 때보다 뜨거울 듯하다. 그 결과를 시장과 소통하기 역시 쉽지 않을 걸로 보인다. '불확실성'을 벗어 던진 시장이 연말...
"보다 더 장기적인 저하(Lower even for Longer)"
2015-12-05 06:48
가이드라인의 두 배에 달하는 고용창출이 이뤄졌다. 그러니 12월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된 것은 물론이고, 그 이후의 인상기조 역시 "덜 점진적"일 개연성이 커졌다. 국채 수익률이 뛰어 오른 건 자연스러운 반사작용...
기획 또는 조율된 실망
2015-12-04 06:20
황급히 내달리는 시장에 옐런 의장이 채찍을 가했다. 옐런 의장은 상하 양원 합동 보고에서 "미국과 유럽의 금리 다이버전스 기대감이 외환시장에 상당히 많이 축적돼 있다"면서 "취약한 대외환경으로 인해 연준은 금...
그래도 너무 뜨겁지 아니한가?
2015-12-03 06:20
록하트 총재는 금리를 25bp 인상해도 민간 신용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긴축 개시를 두려워하는 경제주체들을 안심시키려는 발언이었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의미가 달라진다. 25bp의 금리인상으...
기축통화 또는 준비통화
2015-12-02 06:18
ECB가 윤전기 속도를 높일 수록 유로존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더 빨리 떨어져갔다. 유로화가 급락하면서 원자재를 끌어 내렸기 때문이다. ECB의 화폐증발은 기대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아 왔다. 이것이 미국 ...
"5부 능선" 통과 중인 미국의 경기 회복세
2015-12-01 06:13
지난 1978년 이후의 장기 통계를 보면, 고용 회복세가 일정기간 전개된 뒤에는 이러한 조정양상이 반드시 나타난다. 이 조정을 거친 뒤 노동자들의 일자리 체감도는 다시 기존 추세를 되찾아 제2차 개선양상을 이어가...
"서프라이즈(surprise)" 중독증세
2015-11-28 06:35
지난 9월3일 ECB와 드라기 총재가 12월 추가부양 '가능성'을 열어둔 것만으로도 시장에는 서프라이즈였다. 중국발 불안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의 경제지표들은 대체로 괜찮은 편이었기에 ECB의 '가능성 개...
미국 vs 유로존, 중국 vs 사우디
2015-11-26 06:49
1993년 미국의 경기는 상승세를 타고 있었다. 반면 일본과 독일의 리세션은 심화되고 있었다. 경기 다이버전스를 반영해 두 나라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는 확대됐다. 클린턴 정부는 일본에 대해서는 엔화 강세 유도...
"우발적인 국지적 사건"
2015-11-25 06:26
이번 사건은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 화해협력 분위기가 조성되어 가는 와중에 발생했다. 서방과 러시아 사이에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이견이 남아 있었다. 크게 두 가지이다. 러시아는 내전 종식 이후에도 시...
미국 vs 사우디 vs 러시아
2015-11-24 06:44
그래서 지금 중동 정세는 사우디와 IS 등 이슬람 수니파 세력의 고립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원유시장에 한정해서 볼 때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이란을 중심으로 한 이슬람 시아파는 지금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걸프...
처음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끝
'사회주의 뉴욕시장' 탄생 배경?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6)
'완만한 스태그플레이션' 레짐
"달러의 장기적인 하락 위험"
11월 4일 Jason Kim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연준 '머니 프린팅' 당장 재개?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5)
유동성 vs. 듀레이션
붐(boom)인가 버블인가?
멕시코에 투영된 美 노동시장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4)
AI 거품과 생산성 혁명
"황소들이 너무 많다"
셧다운 끝나면 미니 QE(?)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3)
[Weekly]'영국'을 보는 이유
"AI 정점 아직 멀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2.0' …안근모의 대시보드(25.10.31)
(얼마나) 매파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