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중앙은행(SNB)이 보유하고 있는 금을 더 이상 팔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미국에 보관돼 있는 금괴를 찾아오도록 하는 것 등올 내용으로 하는 스위스 국민투표가 성사단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스위스인포에 따르면 스위스인민당 당원들이 이끄는 우익단체가 주민 10만6천명 이상의 서명을 받아 지난 20일 연방정부에 제출했고 검증작업이 진행중이다. 스위스는 1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으면 주민청원으로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기사참조 : 스위스의 황금투표
이들이 서명을 받아내는 데 걸린 기간은 약 18개월으로 이달 초 실시된 기업경영진 보수규제를 위한 국민투표 서명에 걸린 5년에 비하면 훨씬 짧다.
국민투표가 가결되면 SNB는 앞으로는 금을 매각할 수 없으며, 미국에 보관중인 금괴를 전량 스위스 국내로 반입해야 해야 하며, 중앙은행 보유자산의 최소 20%이상을 금으로 확보해야 하고(현재는 10% 이상), 스위스 정부는 금괴를 어디에 보관하고 있는지 공개해야 한다.
금 매각을 금지하는 것은 스위스 프랑화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고, 미국에 보관중인 금을 가져오는 것은 거대 부채국가인 미국을 믿을 수 없다는 불신 때문이다.
SNB는 지난 2000년 5월부터 2005년까지 초과보유분으로 규정한 금 1300톤을 팔았다. 금본위제도가 폐기되면서 다량의 금을 쌓아둘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 뒤에도 금 매각은 계속돼 지금까지 적어도1550톤을 팔았고 현재 1040톤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스위스인민당은 SNB가 금 1Kg 당 평균 1만6900달러(온스당약 524달러)라는 '헐값'에 팔았다며 분통을 터트린다. 그러나 헐값이었어도 SNB가 금을 팔아 받은 돈은 무려 220억달러에 달했다. 이 돈을 어디에 쓸 것이냐를 놓고 스위스 국민들과 정당, 정부는오랜 논쟁을 벌였다. 지난 2002년에는 이를 두고 국민투표가 부쳐지기도 했다. 2005년 2월 내려진 결론은 금 매각대금의 3분의1은 연방정부가, 나머지 3분의2는 26개 캉통(canton, 州)이 나눠 갖는 것이었다. 당시 스위스 재무부는 'SNB가 그 돈을 가지고 있을 근거가 없고, 더 이상 논의를 해봐야 뾰족한 수가 나오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NB가 초과보유분이라고 하여 매각한 만큼(1300톤)의 금을 되사려면 현재 시세로는 700억달러에 육박하는 자금이 필요하다. 스위스의 지난해 국민소득 6209억달러의 10%가 넘는 돈이다. 물량 기준으로는 세계금협회가 발표한 지난해 총 금수요 4405톤의 약 4분의 1수준. 골드버그(금 신봉자)들에게는 목청을 더 키울 수 있는 훌륭한 재료가 주어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