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11-07 (금)
구독안내
회원가입
결제하기
로그인
메뉴
전체기사
Morning Brief
Editor's Letter
Central Bank Watch
Analysis
Message Board
검색
검색
전체기사
Morning Brief
Editor's Letter
Central Bank Watch
Analysis
Message Board
안근모의 대시보드
닛케이가 오르면 엔화 가치가 떨어진다?!
2013-05-22 06:47
달러-엔 환율은 항상 일본증시에 일방적으로 우선하기만 할까? 그렇지는 않다. 일본증시가 오르면 달러-엔 환율이 상승하는 역(逆)의 상관관계도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의 달러-엔과 닛케이 랠...
금리를 보면 연준의 `말`을 미리 알 수 있다
2013-05-22 06:41
대개들 '무제한' 양적완화라고 부르기는 하지만, QE3의 사실상의 공식적인 명칭은 '개방형(open-ended)' 양적완화 정책이다. 이는 말 그대로 '한계(end)'가 없이 열려 있다는 뜻이다. 규모 ...
더들리 "QE, 몇 달 간은 그냥 이대로 가자"
2013-05-22 04:55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대표적인 부양론자인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사진)가 당분간 수개월동안에는 현행 양적완화 기조를 유지하자고 주장했다. 서둘러서 QE를 축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Shadow Banking의 귀환, Kyle Bass의 노림수
2013-05-22 04:27
1. Shadow Banking - 죽지도 않고 또 왔다 워렌 버핏이 WMD(대량 살상 무기)라고 불렀던 securitization과 새도우뱅킹이 다시 돌아왔다. 그리고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불을 지를 것이라고 시장 조사기관은 분석했...
불라드 "물가하락 상황에서 QE축소 웬말이냐"
2013-05-22 03:39
비둘기파로 돌변한 "매파의 북극성"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1일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일축했다. 올해 FOMC 투표권을 행사하고 있는 불라드 총재는 양적완화 축소 필요성을 가장...
버냉키는 의회에서 무슨 말을 할까?
2013-05-22 02:45
금과 원자재, 그리고 국채 시장은 이미 지난 4월 초부터 Fed가 QE를 축소할 것이라는 판단하에 가격 변동이 있었다. Fed의 정책은 어떻게 진행될까? 그에 앞서 버냉키 총재는 22일 의회 청문회에서 어떤 발언을 할까...
돌려막기, 돌려먹기
2013-05-22 00:08
1. 골드만 복음 빛이 있으라고 골드만삭스가 외쳤으니 시장이 밝아질 것이다. 게다가 화요일이다. 올들어 18번의 화요일이 지나갔고, 그 18번 모두 미국 증시는 상승했다. 19번째라고 해서 다를 이유가 없다. 골드만...
"JGB도 출렁이고..90엔 환율로 돌아가자"
2013-05-21 17:56
21일 로이터 서베이는 최근 아베내각 경제 각료들이 엔 절하 속도에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설문대상 400개 제조업체중 48%는 달러-엔 환율이 100엔 언저리에서 안정되기를 바라고 있다. 1...
Thank you..Japan, Greece
2013-05-21 17:07
5월 초를 기준으로 지난 1년간 가장 재미를 본 펀드는 일본과 그리스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반대는 금광 기업에 투자한 펀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닝스타와 아일랜드의 주식브로커들이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
`종이달러`와 중국, 그리고 QE
2013-05-21 14:47
미국으로선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이 부담스럽다. 연준의 양적완화(QE) 축소 논의가 고개를 들면서 국채수익률이 상승하고 있는 시점에 중국의 이같은 행보가 국채시장에 미칠 파장도 따지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중국...
처음
이전
1501
1502
1503
1504
1505
1506
1507
1508
1509
1510
다음
끝
'사회주의 뉴욕시장' 탄생 배경?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6)
'완만한 스태그플레이션' 레짐
"달러의 장기적인 하락 위험"
11월 4일 Jason Kim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연준 '머니 프린팅' 당장 재개?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5)
유동성 vs. 듀레이션
붐(boom)인가 버블인가?
멕시코에 투영된 美 노동시장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4)
AI 거품과 생산성 혁명
"황소들이 너무 많다"
셧다운 끝나면 미니 QE(?) …안근모의 대시보드(25.11.3)
[Weekly]'영국'을 보는 이유
"AI 정점 아직 멀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2.0' …안근모의 대시보드(25.10.31)
(얼마나) 매파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