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Monitor

페이스북 / 데이터 전쟁 / 인공지능(AI)

  • Market Focus
  • 2018-03-20 19:32
  • (글로벌모니터 오상용 기자)
1. 페이스북

간밤(19일) 페이스북의 시가총액이 367억달러 줄었다. 영국계 데이터 분석회사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가 페이스북 개인정보를 도용한 사건 때문인데, 지난주말 CA의 내부고발로 세상에 알려졌다.

*페이스북이 고객 정보를 유출한 것은 아니다. 페이스북을 플랫폼으로 앱을 유포시켜 개인정보를 수집한 회사(CA)가 이를 외부로 유출한 것이다.

뉴욕타임스와 가디언에 따르면 CA는 페이스북에 유포한 앱으로 5000만명의 페이스북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성향을 수집하고, 자체 분석한 뒤 이를 트럼프 대선 캠프에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트럼프 캠프는 이를 토대로 선거전략을 짜고 지역별 심리전을 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실제 트럼프 진영은 CA를 고용한 전력이 있다.

이야기의 시작은 지난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러시아계 미국인 알렌사더 코간 교수가 앱 하나를 개발했다. 심리테스트 앱(thisisyourdigitallife)이다. 당초 코간 교수는 학술 목적으로 이 앱을 개발했다. 그리고 페이스북과 정식 `학술목적 용도` 계약을 맺고 이 앱을 페이스북을 통해 유포했다. 페이스북 사용자에게도 이 앱의 목적과 취지를 알렸다고 한다.

그러나 코간이 돈을 받고 관련 데이터를 CA에 넘기면서 불법행위가 시작됐다. 이는 당초 페이스북과 맺었던 계약을 위반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2015년에 이를 인지하고, 데이터 삭제를 요구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뉴욕타임스는 "데이터는 최근까지 존재했고, 실제 볼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영국 가디언과 채널4의 르포를 보면 CA는 이밖에도 몹쓸 짓을 많이 했다. 고객들의 선거 승리를 돕기 위해 가짜뉴스 유포, 상대방 후보의 추문 제조 등등.

전날 페이스북 주가가 급락한 것은 예방책을 마련하지 못한 페이스북 책임론이 비등한 탓도 있지만, 당국의 관련 규제가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비교적 자유로웠던 SNS 플랫폼에 당국의 규제가 하나둘 생겨나면 플랫폼의 확장성은 후퇴한다. 페이스북의 미래 사업 포트폴리오도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이런 류의 규제는 흔히 `데이터 공유 생태계`에 가해지는 외래 충격을 의미한다. 페이스북을 주요 채널로 이용하는 앱 개발자를 생각해보자. 페이스북 사용자는 해당 앱이 자신의 개인정보(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허용할지 말지를 스스로 선택한다. 그러니 딱히 앱 개발자는 현행법을 위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이렇게 외부 기업(앱개발자)은 페이스북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생(?)해 사업을 키워나간다. 일종의 데이터 공유 생태계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CA와 같은 탈선과 불법이 생겨나면 오프라인 세계의 규제를 초래한다. 데이터 공유 생태계에는 팍팍한 대기 환경이 형성된다.

2. AI와 빅데이터

전 세계 데이터 생성량은 오는 2025년이면 163조기가 바이트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 2016년의 10배다(FT 기사中).

참고로 중국의 대표적 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전자결제 수단인 알리페이는 초당 2000건의 결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한다. 이 대목에서 잠시 알리바바 마윈 회장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데이터를 모으면 그만큼 AI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방대한 데이터는 현대의 석유와 같다."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옮기자면 강력한 인공지능(AI)을 만들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크게 세가지다. ①뛰어난 학습 알고리즘, ②하드웨어적으로 AI의 *전산처리에 특화된 칩이다.

*흔히 AI 반도체라고 한다. AI의 딥러닝(자체 심층 학습)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반도체인데, 구글이 지난 2016년에 발표한 TPU가 대표적이다. 작년에는 업그레이드 버전의 클라우드 TPU를 내놨다. 구글은 해당 칩을 외부에 판매하진 않는다.

③그리고 필요한 것이 빅데이터, 즉 광범위한 사례다. 마윈의 말처럼 `데이터가 풍부할수록, 모집단이 클 수록 AI의 성능(분석능력)은 개선된다. 더 다양한 문제 유형을 접한 수험자가 더 높은 점수를 얻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니 AI 개발자들은 페이스북과 같은 빅데이터의 바다에 접속하길 원한다. 혼자서 그런 정보를 모으는데 걸리는 돈과 시간에 비하면 페이스북과의 협업은 상당히 경제적이며 결과물도 뛰어날 테니. 그런데 이런 류의 협업은 개인정보 보호법과 전술한 악용사례들로 인해 생겨나는 규제에 의해 제약을 받기 쉽다.

이 대목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 하나 - 중국과 같은 국가모델과 정치모델이라면 어떨까.

최근 간략히 언급한 바 있지만 지난 1월 열렸던 다보스 포럼에서 가장 많은 횟수의 분과회의가 열린 섹터는 `디지털 경제와 사회`다. AI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토론은 열정적이었다. "AI가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 노동력 부족에 빠져든 선진국의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에서부터 "지난 30년의 세계화(Globalizaiton)로 심화된 빈부격차와 고용불안이 AI의 등장으로 더 과격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술 포비아(공포)에 이르기까지, 오갔던 이야기는 다양했다.

당시 IT 기업들 사이에선 윤리적 문제와 정치적 걸림돌 때문에 향후 AI 기술 적용의 진전과 사회 각 분야로 확산이 제한될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국가주도형 성장모델과 권력집중형 정치를 지닌 국가에 의해 추월당할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 그런 국가란 중국을 지칭한다.

국가간 생산성 격차가, AI와 빅데이터의 적용 범위에 의해 좌우될 경우 상대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그렇게 대응하는 과정에서 국가 모델이 어느 쪽으로 수렴될 것인가라는 과제를 남겼다.

3. 데이터 전쟁

지난 2월 미국의 애플사는 중국 본토인의 `아이클라우드(iCloud)` 계정 운용을 중국내 데이터 센터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중국이 지난 2017년 6월부터 시행한 `인터넷 안전법`을 따르기 위해서다. 중국의 인터넷 안전법은 해외자본이 설립한 기업에 의한 중국내 데이터 반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거대한 중국 시장을 놓칠 수 없는 애플로선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중국인의 아이클라우드 계정 데이터 센터가 본토로 옮겨옴에 따라 당국은 아이클라우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더 이상 미국 법원에 요구하지 않고 자국의 사법 시스템을 통해 중국인 사용자의 아이클라우드 데이터를 넘길 것을 애플에 요구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애플의 결정은 중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해외 IT 기업이 직면한 문제이기도 하다. 영업 기밀과 본토 고객의 권리(개인정보)가 침해당할 우려에도 불구, 당국의 룰을 따르지 않으면 14억 시장을 잃어버릴 위험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자국의 데이터를 지켜려는 움직임은 중국에 국한되지 않는다. 미국과 유럽에 걸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추세다. 미국은 지난해(2017년) 11월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권한과 기능을 강화하는 법률 개정안을 상정했고, EU도 오는 5월에 역외로 데이터 이전을 엄격히 제한하는 일반데이터 보호규칙(GDPR)을 시행할 예정이다.

CFIUS의 벽을 넘지 못한 사례를 간략히 보자. 알리바바의 금융자회사인 앤트 파이내셜은 작년부터 미국의 송금서비스 업체 머니그램 인수작업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알리바바의 인수 작업은 올 초 미국 당국(CFIUS)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미국내 중요한 신용정보가 중국 손에 넘어간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최근 미국이 통신네트워크 칩 제조회사인 브로드컴의 퀄컴 인수를 안보상의 이유로 반대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트럼프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USTR 조사권 발동 역시 IT고도화와 AI, 로봇, 전자장비 부문 강화를 내건 `시진핑의 제조강국 2025 플랜`을 직접 겨냥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 트럼프의 No / USTR

4. 스마트 글래스

끝으로 이번 3월 전인대와 관련해 흥미로웠던 풍경 하나. 로이터에 따르 면전인대 기간중 AI 기반의 `스마트 글래스(안경)`를 쓴 공안들이 주요 시설물 주변에 자리를 지켰다. 안면인식 기능을 갖춘 `스마트 글래스`는 중앙의 빅데이터와 연결돼 행인들의 신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은 물론, 차량 번호와 운전자가 일치하는지 파악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는 이번 전인대 기간중 시범적으로 도입됐는데 베이징 외곽의 고속도로 진출입구와 구역별 경찰 등에 배급됐다. 더구나 전인대 회의장으로 들어서는 인민대표들도 출입구에서 안면인식 기능을 갖춘 검색대를 통과하도록 했다. 당의 통제력이 기술진보와 어떻게 융합하는지 보여준 단면이다.

댓글 작성

0/1000